<LinearLayou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xmlns:tools="http://schemas.android.com/tools"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android:orientation="vertical"
android:gravity="center_horizontal"
tools:context=".IntroActivity"
android:background="#FFFFFFFF" >
안녕하세요 안드로이드 하다 궁금증이 생겨서 글을 적습니다.
레이아웃 xml 쪽 부분을 보다 보니 tools:context 부분 이 있는데 이게 무슨 기능을 하는지 모르겠네요
인터넷에 쳐보니 "Graphical Layout" 을 정확히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라고 나오는데 "정확히 표현하기" 가 어느부분을 정확히 표현 하기인지
"특정 activity 와 sync 하여 제대로 그리기 위해서 context attribute 가 등장한 것이지요" 라는거는 음 .. 그래픽레이아웃으로 지정을 했는데도 화면에 안나올경우도 있다는 건가요? 아니면 클래스에서 R.id.버튼명 이런게 잘 안불려져서 저렇게 클래스 명을 쓰면 불러올수 있다는 건지?
"UI 에디터를 사용할때 렌더링하기 위해서 사용하는겁니다. UI에디터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지워도 상관없습니다." 물론 저도 지워보니 아무상관이 없더라구요. 그렇지만 무언가 이유가 있으니 저렇게 코드가 작성되었다는거고 지워도 상관없으면 왜 굳이 tools:context 힘들게 쓰는건지, UI에디터를 사용할때 렌더링하기 위해서 라는데 tools:context를 안사용하면 UI에디터가 안된다는건가요? UI에디터가 그래픽 레이아웃(레이아웃.xml design) 도구를 이용해서 만드는 부분 아닌가요?
tool:context =".IntroActivity" 하게되면 IntroActivity 클래스의 theme="@android:style/Theme.NoTitleBar" (Manifest.xml) 를 사용하여 적용한다는 뜻인가요?
결론적으로 어떻게 쓰는거며 쓰게되면 어떻게 결과가 나오는지 를 모르겠습니다.
정확하게 설명해주는 곳을 찾지 못하여 이렇게 고수분들에게 도움을 청하게 되었습니다.